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요즘 깜빡깜빡한다면? 치매 초기증상 체크리스트 & 예방법과 정부에서 지원하는 치매 관련 무료혜택

by 행복한 생활 2025. 4. 18.
728x90

요즘 깜빡깜빡한다면? 치매 초기증상 체크리스트 & 예방법과 정부에서  지원하는 치매 관련 무료혜택

 

단순한 건망증일까, 치매 초기증상일까?

“어디다 뒀더라?”, “왜 여기 왔더라?”
나도 모르게 깜빡하는 일이 많아지고, 사람 이름이나 약속을 잊는 일이 늘어난다면 누구나 한 번쯤 “혹시 치매 초기증상 아니야?” 하고 걱정하게 됩니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인지, 아니면 병적인 치매 증상인지 헷갈리기 쉽죠.

실제로 치매는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초기에 증상을 인지하고 병원을 찾아 검사하고, 생활 습관을 조절하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어요. 오늘은 치매 초기증상, 원인, 예방법, 치료법, 그리고 뇌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음식과 성분, 마지막으로 어떤 병원과 진료과를 찾아야 하는지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치매 초기증상부터 예방법까지,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1. 치매 초기증상 — 이럴 때 의심해 보세요

 

치매는 단순한 기억력 저하와 다릅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반복된다면 치매 초기증상일 수 있어요.
     ●  기억력 저하: 최근에 일어난 일을 기억 못 함 (예: 방금 들은 뉴스나 대화 내용)
     ●  언어능력 감소: 익숙한 단어가 생각나지 않거나 말이 어눌해짐
     ●  시간과 장소에 대한 혼란: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내가 왜 이 자리에 있는지 혼동
     ●  물건 분실 및 오용: 물건을 잘못된 곳에 두고 찾지 못하거나 물건을 이상하게 사용
     ●  성격 변화: 이유 없이 짜증을 내거나 감정 기복이 심해짐
     ●  판단력 저하: 평소에 하지 않던 낯선 행동을 함 (예: 낯선 곳으로 혼자 외출)

이러한 치매 초기증상이 자주 나타난다면 단순한 건망증이 아니라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치매의 주요 원인

치매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요.
     ●  알츠하이머병: 전체 치매의 60~70%를 차지하며, 뇌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병입니다.
     ●  혈관성 치매: 뇌졸중, 뇌경색 등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발생
     ●  루이소체 치매: 기억력보다는 환각, 행동장애 등이 먼저 나타나기도 함
     ●  우울증 성 치매: 고령자의 우울증이 치매 증상처럼 보이기도 함

이 외에도 비타민 결핍, 갑상선 기능 이상, 약물 부작용 등이 치매 초기증상과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어 꼭 전문 진단이 필요합니다.

 

3. 치매 예방법 — 미리미리 관리하는 것이 중요!

치매는 완전히 막기 어렵지만 생활습관 개선으로 발병을 늦추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어요.

     ●  규칙적인 운동: 특히 유산소 운동은 뇌혈류 개선에 도움
     ●  균형 잡힌 식사: 지중해식 식단이 대표적입니다 (채소, 생선, 견과류 중심)
     ●  두뇌 자극 활동: 독서, 퍼즐 맞추기, 악기 연주, 외국어 공부 등
     ●  사회적 교류 유지: 외로움은 뇌 건강에 매우 나쁩니다. 사람들과 어울리세요
     ●  수면 관리: 수면 부족은 기억력 저하와 깊은 연관

예방이 곧 최고의 치료라는 말처럼, 위 방법들을 꾸준히 실천하면 치매 초기증상을 미리 감지하고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치매 치료법 — 완치는 어렵지만 진행을 늦출 수 있어요

아쉽게도 현재 치매는 완치가 어려운 질환입니다. 하지만 약물과 비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 완화와 진행 속도 지연이 가능합니다.

※ 약물 치료
     ●  콜린에스터레이즈 억제제: 기억력 및 인지기능 저하를 늦춤 (예: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  NMDA 수용체 길항제: 글루탐산 조절로 뇌세포 보호 (예: 메만틴)

※ 비약물 치료
     ●  인지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원예치료 등으로 두뇌 자극
     ●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과 자신감을 높여주는 활동 중심 프로그램

 


5. 뇌 건강에 좋은 음식과 영양 성분

치매 예방과 치매 초기증상 완화를 위해 식단 관리도 중요해요. 아래 음식들을 참고해 보세요.
     ●  등 푸른 생선: 오메가 3 지방산 풍부 → 뇌세포 보호
     ●  호두, 아몬드 등 견과류: 비타민 E, 폴리페놀 → 항산화 작용
     ●  베리류 (블루베리, 딸기 등): 플라보노이드 → 기억력 향상
     ●  브로콜리, 시금치: 엽산 → 인지기능 유지에 도움
     ●  올리브유: 지중해식 식단의 핵심 → 뇌 염증 감소

특히 오메가 3, 비타민 E,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엽산 등은 치매 초기증상을 늦추고 뇌 기능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 성분입니다.

6. 병원 진료과는 어디로 가야 할까?

치매 증상이 의심된다면 신경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세요.
     ●  신경과: 뇌영상 검사(MRI, CT), 신경학적 검사로 원인을 파악
     ●  정신건강의학과: 인지기능검사, 행동평가, 우울증 여부 등 정서적 원인까지

                                   포괄적으로 진단

또한, 치매안심센터에서도 기초 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으니 가까운 센터를 방문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나이 들어서 그래’라고 넘기기 전에, 치매 초기증상 꼭 체크하세요

치매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병이지만,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로 삶의 질을 지킬 수 있습니다.
치매 초기증상을 무시하지 말고, 증상이 의심되면 바로 전문가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뇌도 꾸준히 관리해야 건강하게 오래오래 쓸 수 있다는 점, 잊지 마세요.



◆  핵심 요약

항목 내용
주요 증상 기억력 저하, 시간 혼동, 성격 변화, 언어능력 감소 등
원인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우울증, 비타민 결핍 등
예방법  운동, 사회활동, 식단관리, 두뇌자극 활동
치료법  콜린에스터레이즈 억제제, 인지치료, 음악·미술치료
좋은 음식 등푸른 생선, 견과류, 베리류, 브로콜리, 올리브유 등
도움 되는 성분 오메가3, 비타민 E, 플라보노이드, 엽산 등
진료과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치매안심센터

 


▶ 정부에서 지원하는 치매 관련 혜택

 

1.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사업

     ●  지원 대상: 만 60세 이상으로 의료기관에서 치매 진단을 받고 치료약을

                         복용 중인 환자 중,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 가구
     ●  지원 내용: 치매 관련 진료비 및 약제비의 본인부담금 실비를 

                         연간 최대 36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
     ●  신청 방법: 거주지 관할 보건소나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신청​

 

2. 치매안심센터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

     ●  서비스 내용: 치매안심센터에서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치매 환자에게

                             맞춤형 의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외부의 복지 의료 지원과 연계하는 서비스
     ●  전국 확대: 2024년 상반기부터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에서 운영​

3. 조호물품 지원

     ●  지원 대상: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 환자
     ●  지원 내용: 성인용 기저귀, 방수매트, 바디로션, 식사용 에이프런, 미끄럼방지 양말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조호물품 제공
     ●  신청 방법: 치매안심센터 방문 후 신청서 작성​

4. 긴급 돌봄 지원 서비스

     ●  지원 대상: 돌봄이 필요한 치매 환자 및 가족
     ●  지원 내용: 방문요양, 방문목욕, 이동지원 등 긴급돌봄 서비스 제공
     ●  신청 방법: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거나

                         복지로(https://www.bokjiro.go.kr)를 통해 신청​

5.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  지원 대상: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중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노인
     ●  지원 내용: 일상생활 지원, 정서지원, 안전지원, 사회참여 지원 등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
     ●  신청 방법: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청​

📞 추가 문의 및 상담

     ●  보건복지상담센터: 국번 없이 129
     ●  복지로 홈페이지: https://www.bokjiro.go.kr
     ●  치매안심센터 찾기: 치매안심센터 정보 검색

728x90